본문 바로가기

목숨 지킴이/백두산이 폭발한다면2

2025년 폭발이 임박한 백두산의 화산 폭발 강도, 예상되는 피해 규모 매스컴에서는 백두산 폭발이 앞으로 3년 남았다고 말한다. 2025년에 폭발할 것으로 추정하는 백두산의 화산 폭발 강도와 예상되는 피해 규모에 대해 알아본다. 백두산 폭발의 예상 강도 진도가 지진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듯 화산 폭발에도 그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지수가 정의되어 있다.. 이를 화산 폭발 지수(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라고 부르며 화산쇄설물의 분출량과 화산재의 분출 높이에 따라 0에서 8까지 총 9단계로 나뉜다. VEI 8은 화산쇄설물의 양이 100km^3 이상, 화산재의 분출 높이가 25km 이상인 폭발을 의미한다. 우리에게 비교적 익숙한 화산 폭발인 말레이시아의 므라피 화산(2010)은 VEI 4,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1991)은 VEI 6에 해당하는 .. 2023. 1. 26.
과학자들이 보는 백두산의 폭발 가능성은 100% 백두산은 전 세계의 과학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화산이다. 백두산 폭발이 예상되는 시기에 대한 의견은 분분한 와중에도 그들이 만장일치로 주장하는 백두산의 폭발 가능성은 100%이다. 백두산의 폭발 주기는 100년 백두산은 지금으로부터 1000년 전에 거대한 폭발이 있었다. 지질학자들은 이때의 폭발로 인해 백두산 정상의 3분의 1이 소실되었을 거라고 추정하고 있다. 이렇게 화산 폭발과 함께 다량의 마그마가 분출하여 함몰된 부분을 지질학적 용어로 칼데라라고 하는데 백두산의 칼데라는 천지라는 명칭이 붙었다. 백두산 천지는 둘레만 13.1km, 면적은 9.18km^2에 달하는 거대한 칼데라다. 또한 지하의 마그마에서 방출되는 열로 인해 공기가 냉각되고 고결 과정에서 대량의 수증기가 발생한다. 그래서 천지에는 호수처.. 2023. 1. 17.